🌈 백엔드/네트워크 HTTP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컬 호스트 한글 깨짐 해결하기 [1] 한글 패치 (1) 한글 깨짐 확인 (2) web.xml 의 한글패치 필터 ch2> src > main > webapp >WEB-INF > views > web.xml (3) 로컬호스트 재 조회 더보기 네트워크_텍스트파일 vs 바이너리 파일 [1] 메세지의 파일 종류 (1) 텍스트 파일과 바이너리 파일 바이너리 파일 : 문자와 숫자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읽을수 없는 파일 (이미지, 동영상.... ) 텍스트 파일 : 문자만 있는 저장되어있는 파일 , 읽을수 있는 파일 ① 바이너리 파일 →바이너리파일 ② 텍스트파일 → 바이너리파일 텍스트 파일을 바이너리 파일로 만들기 위해 읽고 쓰는 작업을 한다면 그 데이터 타입에 따라 int, char, float 데이터 크기를 char로 바꾸면서 데이터 크기 차이가 있을수 있다 (2) 바이너리 데이터 전송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 기반의 http 프로토콜로 보낸다. 그 방법은 2가지 ① 방법1 : MIME 마임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HTTP)에 바이너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HTTP의 Conte.. 더보기 네트워크_HTTP 요청메세지 (GET vs POST) [1] HTTP 요청메세지 (1) 방법 GET vs POST GET POST Read 서버의 리소스를 가져오기 위해 설계한다 Write 서버에 데이터를 쓰기 위해 설계한다 URL 주소에 요청메세지를 넣는다 바디에 요청메세지를 넣는다 소용량이 가능 쿼리스트링 Query String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한다 대용량이 가능 전송데이터 크기의 제한이 없다 URL에 입력할 정보를 넣기 때문에 데이터 노출이 되어 보안이 취약하다 데이터를 요청메세지의 body에 담아 전송하여 get보다 보안이 강하다 데이터 전달 및 공유에 유리하다 데이터 전달 및 공유에는 불리하다 암호화는 TLS가 되어야 적용된다 (https://...) 검색엔진에서 검색단어 전송에 이용한다 게시판에 글쓰기 만들기 로그인 회원가입 파일 첨부에 사용.. 더보기 네트워크_프로토콜 HTTP [1] 프로토콜 HTTP (1) 프로토콜 정의 서로 간의 통신을 위한 약속, 규칙 주고 받을 데이터에 대한 형식을 정의한것 (2) HTTP 장점 단점 장점 단점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 같은 클라이언트가 여러번 요청을 줄때, 각각의 요청의 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받았는지 모른다 .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와 세션을 이용하여 같은 클라이언트를 구별한다 단순하고 읽기 쉽다 기본 헤더 외에 컨스텀 헤더로 확장가능하다 (3) HTTP 특징 상태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stateless) 상태정보의 접근법위 , 생존기간에 따라 4개의 저장소로 나누어져있다 주로 html 문서를 송수신에 이용한다. tcp와 udp를 사용한다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더보기 클라이언트 & 서버 & WAS [1] 클라이언트 & 서버 (1) 클라이언트 & 서버 정의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2) 웹프로그래밍 (3) 서버 종류 1. Email server 2. File Server 3. Web Server (4) 서버의 포트 1대의 PC에 이메일서버, 파일서버, 웹서버 등의 여러가지 서버가 있고 클라이언트1이 이메일을 요청했을때 , 여러 서버 중에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기때문에 이때 이메일 서버에 연결된 port 포트 25를 기재해주면 찾아서 응답을 가져온다 [2] WAS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1) WAS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AS :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업데이트하여 서비스하는 서버 서블릿 : 작은 서버 프로그램 (2) WAS & 톰캣 설정파일 ①.. 더보기 네트워크_HTTP 요청 & 응답 (브라우저 출력) [1] HTTP 요청 & 응답 (1) HTTP 요청 & 응답 터미널 또는 브라우저에서 요청메세지의 값을 입력하면 해당 값을 프로그램으로 돌려서 응답 메세지의 결과값을 출력하는 과정이다 (1) HTTP 요청&응답 과정 브라우저 URL을 통해 입력값을 받는다 톰캣 서버에서 HttpServletRequest 가 브라우저의 입력값을 받아 객체를 생성하고 원격프로그램 등록 @Controller, @RequestMapping을 통해 결과값을 브라우저에 전달한다 (3) 요청메세지 HttpServletRequest의 메서드 메서드 내용 결과 출력 request.getCharacterEncoding() 요청 내용의 인코딩 UTF-8 request.getContentLength() 요청 내용의 길이. 알수 없을 때는 -1.. 더보기 네트워크_원격프로그램 (콘솔 출력) [1] 원격프로그램 (1) 원격프로그램 나의 서버 MAC에서 EC2의 window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http://111.222.333.444/8080/ch/ 를 주소창에 조회했을때 실행하게 한다 (2) 접근제어자 main()이 접근제어자인 static을 사용하지 않아도 객체 생성이 되는 이유는 톰캣에서 객체를 생성하였기 떄문에 인스턴스 메서드가 객체로써 실행되었다 [2] 스프링 애너테이션 (1) 원격프로그램 연결 1. 프로그램 등록 @Controller 2. URL 연결 @RequestMapping [3] 원격프로그램 실습 (1) 기본 형태 HomeController.java (2)콘솔 출력 ① 클래스 생성 ch2 > com.fastcampus.ch2 > Hello.java 클래스 생성 ②.. 더보기 이전 1 2 다음